TypeScript에서 SOLID 원칙 중 ISP 원칙 적용해보기
타입스크립트에서 SOLID 원칙 중 ISP 원칙을 적용하는 방법을 예제와 함께 소개해보려고 한다!!! ISP 원칙은,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으로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는 원칙이다. ISP는 마치 SRP와 비슷하게 보이는데, SRP ...
타입스크립트에서 SOLID 원칙 중 ISP 원칙을 적용하는 방법을 예제와 함께 소개해보려고 한다!!! ISP 원칙은,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으로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는 원칙이다. ISP는 마치 SRP와 비슷하게 보이는데, SRP ...
지난 OCP 원칙에 이어 이번엔 React에서 적용하면 좋을 SRP 원칙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SRP는 단일 책임 원칙으로,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원칙이다. 컴포넌트가 한 가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많은 작업을 수행하는 큰 컴포넌트를 더 작은 컴포넌트로 나눌 수 있고, 관련 있는 기능들을 custom...
팀원들과 프로젝트 진행 중에 공통 컴포넌트 중 Header 부분을 맡게 되었는데, 전에 멘토링 시간에 들었던 React에 SOLID 원칙 적용하기에 대한 부분에서 OCP(개방-폐쇄 원칙)를 적용할 수 있을 거 같아서 그 과정을 공유 해보고자 한다. 먼저 SOLID 원칙에 대해서 알아보자! SOLID 원칙이란? SOLID 원칙은 객체지향 설계에서 ...